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4

자료형 자료형 자료형(Data type)이란 데이터의 특징을 결정하는 변수의 선언을 뜻한다.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특징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자료형의 세분화를 통해 주기억 장치(메모리)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있다. 우선 메모리 관리를 위한 비트와 바이트에 대해 알아본 후 자료형에 대해 살펴보자. 비트(Bit) 0 False High 1 True Low 바이트(Byte) 1byte = 8bit 2 2 2 2 2 2 2 2 2 * 2 * 2 * 2 * 2 * 2 * 2 * 2 = 2^8 = 256 데이터 단위 부호비트 양수와 음수를 구별하기 위한 부호 비트 (0 : 양수, 1 : 음수) ex)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8비트 데이터 저장 공간을 사용 양.. 2023. 11. 30.
C 언어의 이해 C 언어 특징 구문이 간결하고 명확 하드웨어 제어 가능 구조화, 이식성, 확장성, 생산성 언어비교 모바일용 프로그래밍 : JAVA, C/C++, C#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 C 응용 프로그래밍 :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 기계어, CPU가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 0과 1로 이루어짐 C 프로그램 작성 및 실행 순서 Coding 논리,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PC,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문서를 작성 Compiler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기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 구문분석 -> 최적화 -> 코드 생성 2023. 11. 30.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의 이해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분석한 후 명세서에 정리한 다음 확인 및 검증하는 활동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가 진행되기 전에 타당성 조사가 선행되어야 함 타당성 조사: 개발 프로세스가 목적에 부합되는지, 예산은 적정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 평가한 보고서를 토대로 수행하는 것 요구사항 개발은 요구공학의 한 요소임.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Requirement Elicitation(요구사항 도출) 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사람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이해하는 과정 이 단계에서 이해관계자(Stakeholder)가 식별되고, 개발 팀과 고객 사이의 관계가 만들어짐 Requirement Analysis(요구사항 분석)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중 명확하지 않.. 2023. 11. 28.
Ubuntu 설치 VMware workstaion에 Ubuntu를 설치하는 법을 알아보겠다. 1. Ubutu 홈페이지에서 22.04.2 버전을 다운받는다. 2. VMware workstaion에서 새로운 Virtual Machine을 생성한다. 3. Linux와 Ubuntu 64-bit을 선택하고 next를 눌러 Virtual Machine생성을 완료한다. 4.Edit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 5.다운받았던 iso파일을 넣어준다. 6. Virtual Machine을 시작한다. 7. 한글을 선택해주고 설치를 클릭 8. 계속 진행하다가 디스크를 지우고 ubuntu설치를 선택후 지금 설치를 클릭 9.지역을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과 컴퓨터 이름,암호 설정 10.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시작 11. 다시 시작한 후 모두.. 2023. 6. 1.
Network 1 Network란? "네트워크(Network)"는 일반적으로 상호 연결된 여러 개체 또는 시스템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이 용어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컴퓨터 과학, 전기 통신, 사회학 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크게 computer network, human network로 나뉜다. 여기서는 주로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다루겠습니다. computer network computer network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단말기와 전송장치와 이것들을 연결하는 선로의 구성을 말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단말기의 수가 증가함으로써(세탁기, 청소기 등) 네트워크가 중요해졌다. 단말기에서 정보를 보낼때 거리의 제약이 있기에 전송장치(swit.. 2023. 5. 30.
Linux 디렉토리 및 파일 관리 파일과 데렉토리는 Linux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이다. Linux에서는 d : 디렉토리, - : 파일, l : link와 같이 해당 내용이 파일인지 디렉토리인지 링크인지 표기해준다. rwxrwxrwx 소유자(User) 그룹(Group) 기타(Other) 순으로 소유권을 표기해준다. r : read (4) : 읽기 w : write (2) : 쓰기 x : execute (1) : 실행 - : 권한이 없는 상태 (0) 와 같이 허가권을 표기해준다. 권한을 숫자로 표시하는 방법 rw------- : r(4)+w(2) = 6, 0, 0 -----> 600 rwxr--r-- : rwx(7) r--(4) r--(4) ----> 744 권한을 상대모드로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방법 chmod u+x user에 .. 2023. 5. 30.